반응형 아파트 투자 이야기/세금.사업자12 임대사업자 자진말소/자동말소 후 임대료 증액상한(5%)을 준수해야 하는지 여부 임대사업자 거주주택 비과세 특례요건을 갖추기 위해서는 아래의 요건을 준수해야 합니다. 1. 장기임대주택을 임대 2. 임대료 증액상한(5%) 준수 3. 구청.세무서에 사업자등록 하지만 자진.자동말소 후 매도전까지 위 규정들을 준수해야지 하는지 의견이 분분했습니다. 특히나 2번 임대료 5%같은 경우, 4-8년 임대를 놓은 임대인이라면 큰 폭으로 전세금을 올릴 수 있어서 많은 고민을 하게 했는데요. 일단 거주주택 비과세 특례요건은 자진.자동말소 후에는 적용이 되지 않는 걸로 정리가 되는 것 같습니다. 2022. 1. 29. 임대사업자 종부세합산배제 홈택스 신고 방법 종합부동산세 합산배제 신고 기간 : 2021.09.16 ~ 09.30 1. 홈택스 - 신고/납부 - 종합부동산세 합산배제신고 2. 합산배제신고 3. 조회 - 전화번호.이메일 입력 4. 조회하기 클릭 후 종부세 대상 주택 확인 5. 종부세 합산배제 할 주택 선택 후 임대주택이동 클릭 - 수록하기 - 저장 후 다음 6. 대상 주택 더블 클릭 7. 임대개시일.구청 및 세무서 사업자등록번호 입력 - 임차 정보 등 입력 - 입력완료 클릭 8. 대상 주택 정보입력 완료 후 수록하기 클릭 9. 직전 합산배제물건 조회 후 임대차 정보 업데이트(생략해도 됨) - 수록하기 - 저장 후 다음이동 10. 이전 화면으로 돌아가서 소유주택명세에서 종부세합산배제 물건들이 사라졌는지 마지막으로 확인 - 이전 년도에 기신고된 물건들은.. 2021. 9. 18. 종부세 세부담 상한의 의미와 함정 종부세 세부담 상한이란? 급격한 세부담으로 인해 재산보유에 지장이 생기지 않도록 종부세 및 재산세의 세부담 상한을 정하고 있습니다. 재산세는 크지 않기에 종부세에 대해서만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종부세란 개인별 보유주택의 공시지가 합을 구하여 아래 표의 요율대로 부과하는 세금입니다. 계산되서 나온 세금에서 이미 납부한 재산세를 제외합니다. 보유주택수에 따라 차등을 두고 있고, 그 금액은 2배 이상입니다. 특히 계산되서 나온 종부세에 농어촌특별세 20%가 부과되기에 실질적으로 2주택 이하의 경우는 종부세 최고세율 3.6%, 3주택 이상의 경우 7.2%로 다주택자에게 징벌적 세금이 부과됩니다. 이러한 징벌적 과세에서 다주택자가 믿을건 세부담상한인데, 이 또한 300%로 재인상 되었습니다. 종부세는 주택보유.. 2021. 8. 28. 주택임대사업자 보증보험 가입 시행 및 가입 면제 요건 주택임대사업자에 대한 규제 중 하나였던 보증보험 가입 의무화가 1년의 유예기간을 거쳐 21년 8월 18일부터 시행되었습니다. 이제 임대사업자에게 보증보험 가입은 의무이기 때문에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보증보험의 정의 및 가입방법은? 원래 보증보험은 임차인이 본인의 보증금 보호를 목적으로 보증보험회사에 가입했던 것으로, 이를 임대사업자가 의무적으로 가입하는 것으로 방침을 정했습니다. HUG(주택도시보증공사), SGI(서울보증보험)에서 가입할 수 있고 보증금의 75%는 임대인이 25%는 임차인이 부담합니다. * 다만 비율대로 청구서가 나오는 것이 아니고, 임대인이 100%납부하고 25%를 임차인에게 받아야 합니다. 보증보험 미가입 시 처벌은? 미가입 시 과태료 최대 3천만원(보증금의 10%) 미가입 시 지.. 2021. 8. 27. 분양권 손피의 정의와 계산 방법 분양권 손피의 의미와 계산방법은? 분양권 매도자 우위시장에서 '손에 얼마 쥐게 해달라'에서 나온 말 양도세까지 매수자가 부담하는 것으로, 1차 양도세를 양도가액에 포함하는 방법으로 정부에서 합법으로 인정한 거래방법이다. 결국 분양권 세율은 66%, 77%로 중과세 되었지만 이는 거래가 힘든 수준이고, 정부에서 '손피의 합법 인정'을 통해서 어느정도 숨통을 튀어 주었다. 하지만 이것도 매수자가 지불하는 프리미엄의 절반이상을 세금으로 내야 하기 때문에, 프리미엄이 많이 붙은 단지의 경우 거래가 힘들어 매물잠김으로 이어지고 있다. 손피의 계산방법은 손피에서 1차 양도세를 계산하고, 둘을 더한 다음 2차 양도세를 구한다. 그리고 손피와 2차 양도세를 합친 금액이 매수가액이 되고, 최종적으로 매도입장에서는 절반이.. 2021. 8. 27. 계약금 배액배상 과정과 세금처리 방법 전국 부동산 시장이 상승장이 되면서 계약금 배액배상도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전국이 상승장이기 때문에 대부분 매도자가 팔고 나서 급등한 가격으로 계약금의 2배를 물어주고 계약을 해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계약금 배액배상의 절차는? 우리가 통상적으로 쓰는 공인중개사 협회 계약서 제5조[계약의 해제]에 계약의 해제를 위해서는 매도인은 계약금의 배액을 배상하고 매수인은 계약금을 포기하라고 되어 있다. 이 때 계약을 해제할 수 있는 기준은 중도금이 있을 때는 중도금 전이고 없을 때는 잔금을 기준으로 한다. 중도금 또는 잔금이 입금되면 매수인이 계약의 이행에 착수한 것으로 보고 더이상 계약을 해제할 수 없다. 배액배상 과정에는 아래와 같이 몇가지 논쟁이 있다. 1. 중도금 또는 잔금을 약정된 날짜보다 일찍 넣.. 2021. 8. 27. 분양권 취득세 정리 취득시기별 분양권 취득세율은? 1. ~2019.12.3 : 주택수 관계없이 1~3% 6~9억원 구간을 세분화한 개정법의 경우 분양권자에게 유리하면 적용을 불리하면 미적용한다. 즉, 취득가액 6~7.5억의 경우 취득세율 세분화가 유리하기에 개정법을 적용하고, 7.5~9억의 경우 불리하기에 개정법을 미적용하고 일괄 2%로 계산한다. 2. 2019.12.04 ~ 2020.07.10 : 4주택 이상 취득세율 4%(지방세 포함) 잔금기준 주택수에 따라 세율이 결정된다. 즉, 분양권 취득 당시 4주택 이상을 보유하더라도 잔금 시 4주택 미만이 되면1~3%의 취득세를 납부한다. 3. 2020.07.11 ~ 2020.08.11 : 다주택 취득세 중과 규제지역일 경우 1주택 1~3%, 2주택 8%, 3주택 이상 12% .. 2021. 8. 26.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