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부산부동산전망2

부산광역권(창원,양산,김해) 인구증감 및 입주물량 부산광역권 중 먼저 하락한 지역(창원, 울산)은 물량의 정점을 향하고 있습니다. 반대로 가장 오래 상승했던 부산은 17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입주가 몇년간 계속 되네요. 하락싸이클로 진입한 부산광역권의 인구증감 및 입주물량을 보며, 지역간의 연계를 공부 할 수 있는 시간인거 같네요. 최근 3년간 인구증감 : 양산, 강서구, 기장군 인구 증가 두드러짐 최근 1년간 인구증감 : 양산, 강서구, 기장의 인구 증가 두드러짐 최근 3년간 입주물량 : 양산, 김해, 강서구, 창원 입주물량이 많았음. 창원, 김해는 공급에 비해 인구증가는 크지않음 향 후 3년간 입주물량 : 창원, 양산 입주물량 감소, 김해 2019년 과잉, 부산 중심지(진구, 연제구) 입주물량 과잉 ♥ 부산광역권 서부라인 대장은? - 신도시 택지지구 .. 2019. 3. 13.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신시가지, 중동)의 미래 by 입주물량 2016년 급상승 이 후 신시가지는 큰 폭의 조정을 받고 있습니다. 신시가지가 직면한 가장 큰 단점인 '노후화'를 대체할만한 신축의 입주가 많기 때문인데요. 그렇다면 앞으로는 어떤 흐름을 보일지 과거와 현재를 통해 미래를 예상해 보겠습니다. 1. 해운대구 개별 공급량 18년 1분기 우동 자이2차/경동리인, 19년 3, 4분기 마린자이/비스타/엘시티, 20년 3분기 중동롯데캐슬 2. 해운대구 + 기장군 공급량 13년 1분기~15년 1분기 정관신도시 입주, 20년 1분기~4분기 일광신도시 입주 3. 해운대구 + 남구 + 수영구 + 기장군 공급량 17년 3분기~18년 3분기 남구, 수영구, 해운대구 2호선 라인 물량 집중 4. 해운대 대림 1차 20평대 매매 및 전세(2010.01~2014.12) 5. 해운대.. 2019. 3.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