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입주물량2

창원시, 김해시 아파트시장의 미래 by 입주물량 창원시는 매매/전세 동반 하락폭, 미분양물량 등에서, 전국에서 가장 안좋은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가격적인 면에서는 워낙 많이 떨어져서 매력적으로 보이네요. 요즘 하락장에 선진입하는 투자자가 많은데, 창원도 후보지 중 한곳입니다. 과거, 현재, 미래의 공급량을 통해 창원시, 김해시 아파트시장의 미래를 예상해 보겠습니다. 1. 창원, 김해, 강서권 지도 창원시, 김해시, 부산 강서구는 지리상 서로 인접하였고, 직장 및 생활권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2. 창원시 전입, 전출 창원시는 인접한 김해시, 강서구와 인구교류가 가장 많기 때문에, 입주물량에 영향을 받습니다. 3. 입주물량 및 매매/전세 지수 19년 창원 유니시티를 끝으로 입주가 소강상태로 접어들며, 20년 3분기 명지 포스코 입주를 제외하면 큰 공급.. 2019. 3. 13.
19년 1월 주택 인허가/분양/준공 분석 19년 1월말 기준(18년 ~19년 누적) 전국 인허가/분양/준공 특이사항 요약 → 서울 분양(승인) -44.6% - 2020년 이 후 물량부족 심화 → 인천 분양물량 증가 +36.6% - 택지지구 물량 증가 원인 → 부산 분양물량 증가율 감소 - 정비구역 위주의 대기물량 많음 → 대구 분양/인허가 증가 - 아파트 위주(분양/인허가)의 물량 증가, 2020년 이 후 물량증가 → 광주 분양/착공 감소 - 2019년부터의 누적 물량 부담 완화 → 기타지방 분양/인허가 급감 - 2년 이 후 입주물량 대폭 감소 : 울산, 세종, 충남, 경남, 경북, 제주 등 ​ 지역별로 2018년과 비슷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 1월 분양 비수기와 부동산경기 침체가 겹쳐 전국적으로 분양실적은 많이 감소한 모습이네요. ​.. 2019. 3.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