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파트 투자 이야기/부동산시장흐름 읽는법17 KB 매수우위지수.전세수급지수로 보는 전국 부동산시장 흐름과 상승압력 매수우위지수.전세수급지수를 보는 이유 KB시계열 자료는 매주 업데이트 되고 투자자들은 투자 시 이 통계를 많이 참고합니다. 그 중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는 매수우위지수와 전세수급지수 입니다. 두 지표를 통해서 시장의 흐름을 알 수 있고, 그 흐름에 맞춰 투자를 하며 성공확율을 높일 수 있는 것입니다. 먼저 매수우위지수는 부동산을 사고.팔고 싶어하는 사람들 중 누구의 비중이 큰 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매수우위지수가 높다는건 현장에 매물은 말라 있고, 사고자 하는 대기수요는 많기 때문에 매매가 또한 강세를 보입니다. 전세수급지수는 전세를 내놓은 사람과 찾는 사람의 비율을 지표로 나타낸 것입니다. 이 때 중요한 것은 두 지표를 같이 봐야 더 정확히 시장의 흐름을 알 수 있습니다. 시장에 나오는 공급의 총합은.. 2021. 9. 17. 호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부동산 시장(안산, 의왕, 화성 급등) 올해 들어 전국적으로 부동산시장이 상승하면서 호재에 굉장히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습니다. 호재는 더 큰 호재로 받아들이고 장단점이 있는 이슈도 호재로 인식하며, 일단은 어떤 이벤트가 나와도 좋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올해 초 GTX-C 상록수역 정차 이슈로 주변 역세권 단지인 월드아파트가 순식간에 2억원이 급등하였고, GTX-C 인덕원역 정차로 주변 신축 단지가 몇일 만에 수억원 급등하기도 하였습니다. 외곽지로 갈수록 '서울(일자리)과의 거리'라는 큰 단점이 있기에 그 단점이 해소되는 이슈가 발생하면 큰 계단식 상승을 하는 패턴을 보이고 있습니다. 몇일전에 3차 택지지구 발표가 있었는데요. 시장에서 예상했던 고촌, 감북 등 서울에서 가까운 곳이 아닌, 안산, 화성, 인천 등 수도권 외곽 인프라가 부족한 곳이.. 2021. 9. 2. 2021년 4분기 부산 중심지 입주물량 과다와 매수타이밍 부산 입주물량 특이점과 주목해야 할 시기는? 부산 입주물량은 21년 4분기, 22년 3분기에 집중적으로 나옵니다. 그리고 그 물량은 대규모 택지물량이 아닌 재개발로 인한 중심지 물량입니다. 경남의 물량이 적은 상태에서 나오는 물량이기에 전체 부산시장은 버텨내겠지만, 중심지 물량이 집중되기 때문에 단기적인 영향은 분명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21년 4분기 물량은 1년동안 입주공급이 부족한 상태에서 나오는 입주물량이기에, 22년 3분기에 시장이 더 흔들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매매.전세 모두 많이 상승한 상태에서 나오는 물량이기에 분명 시장에서 반응이 올것이고, 이는 매수기회가 될것입니다. 부산 단기 입주물량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부산 부동산시장은 앞으로 몇 년간 계속해서 강세를 보이고, 그 과정 속에서.. 2021. 8. 29. 입주물량에 따른 최근 상승 패턴과 주목할 지역 최근 몇년간 하락장에서 바닥을 다지고 상승하는 지역들 대부분이 공통적인 패턴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하락장에서 입주물량이 부족해지며 에너지가 쌓여 바닥을 다지고, 전세가 매매를 밀어 올리는 경우가 많았는데요. 최근 몇년간은 '입주물량이 실제 부족해진 해'가 아니라, 부족구간이 도달하기 전 막바지 입주물량구간에서 매매가가 상승해 버리는 경우가 매우 많습니다. 이유를 찾자면, 1. 풍부해진 전국투자자와 유동성 거의 전국이 상승하며 투자자 숫자도 늘어나고 그 투자자들의 유동성 또한 늘어 났습니다. 어떤 한 지역이 상승하게 되면 '상승의 맛'을 알게 된 지역 투자자들이 급격히 늘어나고 그들이 전국으로 투자를 지속하게 됩니다. 2010년대 초반부터 부산.대구 투자자가 많이 생긴 것도 부산.대구 집값이 계속 .. 2021. 8. 27. 대한민국 인구싸이클이 부동산시장에 미친 영향과 전망 지금까지 우리나라 인구 싸이클의 흐름은? 1. 1차 베이비부머 세대(1955-1963년) 우리나라 산업화를 이끌며 가장 고생하셨던 세대로 대부분 형제.자매가 5명 전후로 인구가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2. 2차 베이비부머 세대(1968-1973년) 우리나라가 산업화를 거치며 발전하던 시기로 이 때도 형제.자매가 많았고 인구가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3. 1차 에코세대(1979-1983년) 1차 베이비부머세대의 자식세대이다. 1차 베이비부머세대가 워낙 인구가 많았고, 자식 2명이상이 거의 표준이었던 시기로, 인구가 많은 1차 베이비부머세대가 2명의 자식을 낳으니 이 때도 인구가 큰폭으로 증가하였다. 4. 2차 에코세대(1991-1996년) 2차 베이비부머세대의 자식세대이다. 이 때도 1차 에코세대와 같은 .. 2021. 8. 27. 지금은 규제지역 저평가 분양권(입주권) 매수 타이밍 전국적으로 부동산시장이 뜨거운 가운데, 급등에 따른 가격밸런스가 일시적으로 깨진 곳들이 많이 보인다. 분명 입지, 연식이 더 뛰어난 곳인데 인근 구축과 총매매가가 같은 분양권도 보이고 오히려 더 저렴한 곳도 보인다. 2-3개월전부터 유심히 보던 단지(분양권)는 가격밸런스를 어느정도 맞춰가는 중인데 아직도 인근 구축에 비해 저렴해 보인다. 왜 이렇게 구축과 분양권의 밸런스가 깨지는 것일까? 1. 투자자들은 규제지역 분양권은 살 수 없고, 구축 갭투자는 가능하다. 규제지역 분양권은 중도금대출 문제로 현실적으로 살 수 없지만(투자금만 3억 이상), 12.4% 취득세 중과를 감수하고 구축 갭투자를 할 수 있을 만큼 전세가가 많이 올랐다. 2. 지금은 입주물량이 부족한 실거주장이라 실제 입주가 가능한 아파트가 필.. 2021. 8. 27. 광주광역시에 저평가(?) 아파트가 많은 이유 광주광역시에는 왜 저평가 아파트가 많을까? 최근 광주광역시 아파트 투자를 하면서 투자의 이유가 대부분 '저평가 되어 있다.' 저평가 아파트가 많다.'이다. 광주광역시에 싼 아파트가 많은 이유는 시도별 주거형태 비율을 보면 어느정도 설명이 가능하다. 비슷한 컨디션인 아파트인데 다른 광역시는 2억대이고 광주광역시는 1억대이면 가격이 싼것은 분명하고, 입지를 상호 비교했을 때 저평가 되어 있다는 것이 틀린 말은 아니다. 다만 시도별 주거형태 비율의 특이점은 알고 접근 할 필요가 있다. 광주광역시는 아파트 비율이 65.5%로 전국에서 가장 높으며 다세대주택 비율은 1.1%로 전국에서 가장 낮다. * 세종시는 도시 특성상 예외로 한다. 대전.대구.인천.부산 등과 비교 시 아파트 비율이 10% 가까이 높다. 각 도.. 2021. 8. 26.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