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파트 투자 이야기/투자의 기술(Tip)

수요의 시간이동과 매매/전세 오르는 간단한 원리

by 포스리치 2019. 3. 14.
반응형

의.식.주 우리가 살아가는데 꼭 필요한 것들입니다.

 

그 중에서 '주', 우리는 살면서 매매/전세/월세 중 하나를 선택해야만 하죠.

 

금리, 심리, 정부정책에 의해 사람들은 매매를 선택하기도 하고 전세를 선택하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지금 서울의 상황은?

 

서울은 집값이 더 오를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에 집을 찾는 사람은 '매매'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집을 가진 사람은 '매도'를 하지 않고 '전세'를 선택합니다.

 

파는 사람이 없는데 살려는 사람이 많으니 가격이 올라갑니다.

 

반면 매수를 많이 하는만큼 전세/월세 수요는 줄어들겠죠?

 

그런데 서울은 전세가 또한 올라갑니다.

 

서울은 절대공급량 자체가 모자른데다, 신규수요자/무주택자/투자자 모두 '매매'로 수요가 몰리니 가격이 상승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지금 부산의 상황은?

반응형

 

부산은 집값이 더 하락할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에 집을 찾는 사람은 '전세'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집을 가진 사람은 보유하지 않고 '매도'를 선택합니다.

 

사는 사람이 없는데 팔려는 사람이 많으니 가격이 내려갑니다.

 

반면 매수를 하지 않는 만큼 전세/월세 수요는 늘어나겠죠?

 

그런데 부산은 전세가 또한 내려갑니다.

 

부산은 절대공급량 자체가 많은 데다, 신규수요자/무주택자/투자자 모두 '전세'로 수요가 몰리니 가격이 내려가는 것입니다.

 

하지만 부산 일부지역은 매도물량은 많은데 전세대기자는 많습니다.

 

보유자는 매도를 할려고 해서 전세물량이 줄어드는데, 집이 필요한 사람은 사지는 않고 전세만 찾기 때문이죠.

 

이러한 간단한 원리에 의해 매매와 전세가격이 상승과 하락을 하는 것입니다.

 

사람의 심리는 대중의 영향을 받고 한쪽으로 쏠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주식과 부동산에는 '추세'라는 것이 존재하고, '추세'를 바꾸는 것은 수요와 공급입니다.

 

하락장에서 '전세'를 선택한 대중은 시장에너지를 축적하고, 상승장에서 '매수'를 선택한 대중이 많을수록 '매수'대기자가 줄어들게 됩니다.

 

이러한 수요의 시간이동으로 인해, 추세전환 시 상승과 하락의 폭이 커지게 됩니다.

 

그래서 아파트시장은 폭등이 나오기도 하고 폭락이 나오기도 합니다.

 

간단한 원리이지만 대중의 심리가 움직이는 것을 보면 참 재미있네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