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국의 추월, 각종 규제로 인한 생산성 악화와 대내외 경기부진으로 2019년 경기는 더 어두울거라는 예상이 지배적입니다.
올해까지 고용/생산/수출은 반도체/석유화학 등이 이끌었고, 조선/자동차/디스플레이는 부진을 면치 못하였습니다. 이는 2018 전국산업단지 현황통계에서도 확인할 수 있네요.
그리고 제조업 생산지수 또한 주력산업에 따라 지역별로 다른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제조업 기반 도시들은 과잉공급이 아님에도 경기침체와 함께, 예상보다 일찍 하락으로 전환된 지역들이 있기에 경기흐름을 파악하고 예상하는 것도 가치있는 작업이라 생각되네요.
산업단지 고용/생산/수출 지표도 그나마 수도권/충청도/강원도가 좋은 흐름을 보이고 있고, 경남/경북/전북은 좋지 않은 모습입니다.
각 지역별 주력산업을 파악하고, 향 후 전망과 지역경기에 미칠 영향을 생각해봐야 겠네요.
이러한 흐름은 제조업 생산지수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경기/충청권은 상승흐름, 부산 포함 경상권과 전라권은 완연한 하락흐름입니다. 하락흐름에 있는 지역들의 경기반등여부, 상승흐름에 있는 지역들의 지속여부를 생각해봐야 겠습니다.
반응형
'아파트 투자 이야기 > 거시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준금리인상과 시장금리의 방향성 (1) | 2021.08.28 |
---|---|
주택담보대출 금리 점검(5년 고정금리 기준) (0) | 2021.08.27 |
고정금리.변동금리의 선택 기준과 금리의 방향성 (0) | 2021.08.24 |
'국가부도의 날'영화와 IMF 외환위기의 원인과 결과 그리고 현재 (0) | 2019.03.12 |
2018년 12월 기준 통화 및 유동성 (0) | 2019.03.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