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산광역권 중 먼저 하락한 지역(창원, 울산)은 물량의 정점을 향하고 있습니다.
반대로 가장 오래 상승했던 부산은 17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입주가 몇년간 계속 되네요.
하락싸이클로 진입한 부산광역권의 인구증감 및 입주물량을 보며, 지역간의 연계를 공부 할 수 있는 시간인거 같네요.
최근 3년간 인구증감 : 양산, 강서구, 기장군 인구 증가 두드러짐
반응형
최근 1년간 인구증감 : 양산, 강서구, 기장의 인구 증가 두드러짐
최근 3년간 입주물량 : 양산, 김해, 강서구, 창원 입주물량이 많았음. 창원, 김해는 공급에 비해 인구증가는 크지않음
반응형
반응형
향 후 3년간 입주물량 : 창원, 양산 입주물량 감소, 김해 2019년 과잉, 부산 중심지(진구, 연제구) 입주물량 과잉
♥ 부산광역권 서부라인 대장은?
- 신도시 택지지구 선호도 높음(창원 < 김해, 부산북구 < 양산)
- 창원, 김해권 대장은? 강서구(광역시 택지지구)
- 결국 서부권은 부산 강서구가 중심지가 될것
- 양산시 입주감소 시 부산북구 전세안정 될것
- 김해 입주 시 비슷한 가격대 창원 구축 더 힘들어 질것
- 부산인구 블랙홀은 양산시
- 동래구, 부산진구, 연제구 영향권 힘들어질것 : 워낙 중심지라 부산전역 영향권
- 해운대, 정관은 일광신도시와 비슷한 가격대 구축 힘들어 질것
반응형
'아파트 투자 이야기 > 지역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2020년 인천광역시 공급량(입주물량) 분석 (0) | 2019.03.13 |
---|---|
2018~2020년 서부권 공급량(입주물량) 분석 (0) | 2019.03.13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신시가지, 중동)의 미래 by 입주물량 (1) | 2019.03.13 |
5대광역시 위치에 따른 투자전략 by 5분위지수 (0) | 2019.03.13 |
창원시, 김해시 아파트시장의 미래 by 입주물량 (0) | 2019.03.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