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파트 투자 이야기/지역분석

2013~2021년 대전광역시 아파트시장흐름 예상 by 입주물량

by 포스리치 2019. 3. 12.
반응형

1. 대전분기별 입주물량(2013~2021년)

→ 18년 2~4분기 적정, 19년~21년 입주물량부족 지속

 

2. 6년간 대전 전입전출

→ 6년간 세종시로 인구 76,211명 순유출(세종시 입주물량에 큰 영향 받음)

 

3. 세종시 분기별 입주물량(2013~2021년)

→ 18년 4분기 주춤, 19년 4분기 이후 입주물량 급감

 

4. 대전+세종시 분기별 입주물량(2013~2021년)

→ 14~15년 과잉공급, 16년 물량감소, 17년 2분기~18년 1분기 공급과잉, 18년 2분기 이 후 물량감소, 19년 4분기 이후 입주물량 급감

 

5. 대전광역시 분기별 매매/전세 증감(2013~2018년)

 16년 전세가 매매가 밀어올림, 17년 이후 선호단지 중심의 국지적 상승

 16년처럼 입주물량 감소 시 갭작은 구축의 전세가 상승에 따른 매매가 상승 예상

 

6. 대전/세종 분기별 전세 증감(2013~2018년)

→ 대전은 세종전세가에 큰 영향을 받음

 세종 전세가 반등(입주감소) 시 동반 상승 예상

 

7. 세종시 분기별 입주물량과 전세증감(2013~2018년)

→ 세종시는 당연히 입주물량에 전세가 영향을 받음

 19년 4분기 이후 전세강세흐름 이어질 것

 

8. 서구/유성구/세종 전세 증감(2013~2018년)

→ 세종시 입주로 인해 서구/유성구의 선호지역 구축 전세가 큰 영향을 받음

 

대전광역시 투자전략은?

2019년 4분기 이 후 세종/대전 전세강세 → 대전 매매강세흐름에 따른 대세상승장 예상

 

2019년 3, 4분기 진입 또는,

 

대전+세종입주가 감소하는 시점(18년 4분기), 대전자체 입주가 전무한 시점(19년 1분기)을 활용한 선진입도 유효함.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