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파트 투자 이야기/지역분석

제3차 신규 공공택지 추진계획 주목할 지역

by 포스리치 2021. 8. 30.
반응형

제3차 신규 공공택지 발표가 있었습니다.

 

신도시의 많은 공급물량은 입주 시 과다공급으로 하락을 만들기도 하지만,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에 들어오는 신도시는 호재가 될 수도 있습니다.

 

신도시가 생김으로써 교통망 대책이 수립되고 학교.공원 등 각종 인프라도 같이 들어오기 때문에 소외되었던 지역의 입지가 달라지기도 합니다.

 

'여기는 다 좋은데 인프라가 부족한게 단점이야'라고 생각하는 곳은 인프라에 대한 패널티로 시세가 정해져 있습니다.

 

만약 이런 곳에 개발로 인한 인프라가 같이 들어온다면 그 단점이 장점으로 바뀌며 시세상승을 만듭니다.

 

최근 좋은 예로 검단신도시의 대규모 공급이 이루어 지면서 여러 교통대책과 인프라 대책도 함께 발표되었고, 인근 당하.원당의 집값도 큰 상승을 하였습니다.

 

그래서 이번 발표에서 가장 주목 할만한, 지역의 입지를 바꿀만한 공급계획을 살펴 보았습니다.

 

아래 지역들은 다른 대규모 3기신도시처럼 앞으로 수도권 광역교통망 정책 수립 시 항상 최우선적으로 검토될 것입니다.

 

따라서 기존 주택 중에서 이 신도시들이 들어오면서 입지와 인프라가 같이 좋아질 곳을 선점한다면 좋은 투자가 될 것입니다.

 

1. 의왕.군포.안산(4.1만호)

지구 내를 경유하는 지하철 1호선·4호선과 GTX-C 노선을 연계*하는 방안을 검토하여 철도중심의 대중교통체계 구축

* GTX-C 노선 우선협상자와 의왕시가 함께 제안한 GTX-C 노선 의왕역 정차를 검토

 

의왕역(1호선) 및 반월역(4호선)에 복합환승시설을 신설하여 철도교통 접근성 강화

 

기존 광역교통 계획* 등과 연계한 BRT 노선(반월역~군포~의왕역) 등을 신설하여 대중교통(지하철 1·4호선, GTX-C, 광역버스 등) 연계체계 강화

 

☞ (효과) 서울 강남권 20분(GTX-C)·서울역 35분(GTX 환승) 소요 등 서울 도심 접근성 개선

* 사업지구 ↔ 의왕역(GTX-C) ↔ 양재역(GTX-C, 20분) ↔ 삼성역(GTX-C, 5분) ↔ 서울역(GTX-A, 10분)

※ (現 통행시간) 서울 강남_대중교통 65분/자가용 70분, 서울역_대중교통 80분/자가용 95분

 

 

2. 화성 진안(2.9만호)

신분당선 등을 연계하는 철도 교통망 구축으로 서울 도심(강남역, 서울역 등) 50분 내 도착

지구 내 남북간 대중교통축(경전철 등 검토)을 구축하여 신분당선, 동탄트램(GTX-A) 등으로 환승·연결

☞ (효과) 강남역 약 50분(신분당선 환승), 서울역 약 45분・삼성역 약 40분(GTX 환승) 소요

 

- 신분당선과 연계되는 대중교통축 신설로 서울 도심 접근성 및 주변지역 교통여건 대폭 개선

* 사업지구 ↔ 광교중앙역(신분당선, 15분) ↔ 강남역(신분당선, 35분)

 

- 동탄트램을 통한 GTX-A 연계가 가능하여 수도권 광역 대중교통 접근성 향상

* 사업지구(트램) ↔ 동탄(GTX-A, 15분) ↔ 삼성역(GTX-A, 25분) ↔ 서울역(GTX-A, 5분)

※ (現 통행시간) 강남역 버스 75분/자가용 60분, 지하철(병점↔강남, 환승2회) 57분

서울역 버스 85분/자가용 80분, 지하철(병점↔서울, 환승1회) 67분

 

 

3. 인천 구월2(1.8만호)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제2경인고속도로 남동IC의 체계적 개선으로 광역 접근성 강화,

GTX-B 연계 체계 구축으로 여의도·서울역 30분대 도착 가능

 

 

4. 화성 봉담(1.7만호)

☞ 수인분당선 역사신설을 통해 수원역까지 약 15분 내 도착

GTX-C(예정) 수원역 연계 시 삼성역까지 약 40분대 도착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