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부산권의 입주물량 하락포인트는?
김해.양산.창원.서부산권은 입주물량 자체적으로 하락이유를 찾기 힘듭니다.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분양하는 에코델타시티가 흥행에 성공하면 분양시작이 활성화 되며 본격적인 물량이 나올것으로 예상되며, 그 분양물량이 입주로 전환되는 2023년 하반기까지는 매매.전세 강세 보일것.
앞에서 확인해본 동부산. 이번 서부산권 모두 입주물량이 없다.
즉, 부산 입주물량의 대부분은 동래.연제.부산진구에 몰려 있다.
반응형
부울경 입주물량의 특징은?
오랜 침체기를 겪었던 창원.김해.양산.울산 모두 입주물량이 적다.
2023년 까지는 수급적으로 매우 안정되어 있고, 부산 중심으로 나오는 물량은 '동래.연제.부산진구'를 중심으로 한 '내륙권'에 집중되어 있다.
내륙권 물량이 어느정도 영향을 미치겠지만 금리의 상승 등 급격한 수요의 위축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수급적으로 매우 안정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당분간 강세를 이어갈 예정이고 올해.내년 단기간 집중되는 내륙권물량이 나왔을 때 서부산권은 어느정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이지만 단기간에 그칠 확율이 크다.
울산.창원 같은 경우 부산권과 어느정도 거리가 있고, 두 지역 모두 제대로 된 입주물량이 없어서 2023년까지는 계속해서 매매.전세 강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반응형
반응형
반응형
'아파트 투자 이야기 > 지역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사업 기본설계(안) 공고 및 추진현황 (0) | 2021.08.25 |
---|---|
해운대가 부산의 강남인 이유 (0) | 2021.08.25 |
[수급분석-부산.해수남]2021년~2024년 부산 & 해수남 입주물량 분석 (0) | 2021.08.24 |
[수급분석-수도권]2021년~2023년 수도권 입주물량 분석 (0) | 2021.08.24 |
3년간 산업단지별 업체수, 가동률 및 고용현황 변화 (0) | 2019.07.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