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산광역시 분기별 입주물량(2020년 하반기 ~ 현재, 부산 매매.전세 급등)
1. 저금리 영향 - 코로나19로 인한 기준금리 하락 및 통화량 증가로 매매.전세 급등
2. 임대차3법 - 입주물량이 줄어드는 시기에 임대차3법 시행으로 전세유통매물 급격히 줄어듬
3. 부산시장 역사상 가장 큰 매매.전세 동반 급등
부산광역시 분기별 입주물량(2021년 하반기 ~ 미래)
1. 저금리 지속 시 - 21년 4분기, 22년 3분기 등 대량물량 입주 시 잠시 흔들리나 계속해서 상승흐름 이어갈듯
2. 금리 상승 시 - 부산은 지금까지 누적물량이 적지 않고 21년 4분기(동래구), 22년 3분기(부산진구) 물량이 집중되어,
금리상승으로 인한 전세자금대출부담 증가 → 전세가상승추세 완화 → 입주물량증가로 인한 전세가 하락 → 매매가 하락 패턴으로 상승세 꺽일 가능성 있을 정도의 입주물량임
반응형
반응형
해운대.수영구.남구의 입주물량
1. 2022년 2분기까지 입주가뭄임 - 지속적인 강세전망
2. 2023년 물량도 후분양물량이 많음 - 남천 해리치자이, 대연비치푸르지오 써밋, 해운대 경동리인뷰2차 등 후분양물량이 많아서 다른 구들에 비해 수요소진이 적을 예정(*무주택자가 분양권을 가지고 있다는 것만으로 안도감을 가지고 시장에서 이탈함)으로 대구 수성구처럼 상승추세가 가장 마지막까지 이어질 예정
부산은 집중되는 입주물량으로 인한 전세가 하락이 나오면 철저히 '상급지로의 이동'을 노려야 함
반응형
'아파트 투자 이야기 > 지역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운대가 부산의 강남인 이유 (0) | 2021.08.25 |
---|---|
[수급분석-부울경.서부산권]2021년~2024년 부산.울산.경남 & 서부산권 입주물량 분석 (0) | 2021.08.25 |
[수급분석-수도권]2021년~2023년 수도권 입주물량 분석 (0) | 2021.08.24 |
3년간 산업단지별 업체수, 가동률 및 고용현황 변화 (0) | 2019.07.23 |
2년전 김해 아파트시장 분석과 현재 상황 (1) | 2019.03.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