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수도권
▶ 서울은 매물이 없다. 높아진 호가에 매매거래량이 줄어 들었을뿐, 매매.전세 상승흐름은 지속되고 있고 이러한 불안한 흐름이 지속될 가능성이 커보인다.
▶ 최근 발표된 대출규제, 재건축.재개발 거래규제 등으로 중저가 재건축 및 리모델링 가능한 구축단지들의 상승세가 눈이 뛴다.
▶ 초기 재개발지 투자는 여전히 뜨거운 흐름을 유지하고 있고 정부정책에 따라 구역들이 번갈아 가며 주목받고 있다.
▶ 줄어드는 입주물량, 임대차3법, 강남권 재건축 단지 이주수요 등으로 전세불안은 점점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 인천은 작년말 연수구에서 시작된 상승흐름이 지속되며 여전히 매매.전세 급등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단기급등에 따른 피로감과 매도.매수 희망가 갭차이로 대장단지들의 급등흐름은 어느정도 진정되어 가는 흐름이다. 구축단지들의 키맞추기 상승 흐름이 이어지고 있고, 투자자들도 어느정도 진입을 완료하여 하반기에는 강보합흐름을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는 1기신도시.수원 등의 구축단지들(리모델링 가능 단지), 교통호재 인근 단지들(GTX, 신안산선 등) 중심으로 급등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올해 2분기 이 후 입주물량 자체도 많이 줄어들기 때문에 매매.전세 동반 강세흐름은 이어질거 같다.
▶침체기가 길었던 평택, 오산, 동두천 등 외곽 지역이 일자리.교통호재.재건축 등의 이슈로 급등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부.울.경
▶ 선호지역 선호단지 중심으로 부산이 먼저 다시 움직이고 있다. 해운대.수영구를 중심으로 한 2호선 역세권 단지들은 신축입주가 없어서 매물이 귀하여, 실거래가 되면 신고가를 경신하고 있어서 강세흐름은 올연말까지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 작년말-올초 서울, 올초 인천으로 집중되었던 1억이하 초기재개발 붐이 부산에도 이미 시작되었다. 보수동을 중심으로 한 중구.동구 빌라촌, 용호동, 해운대 중동, 광안역.수영역 인근 등에 이미 투자자들이 대거 진입하였고 현재 진행형이다. 과열되는 분위기라 옥석을 가려서 진입해야 할것으로 보인다.
▶창원.울산은 전세가는 계속해서 강세를 보이고 있고, 5월말 기점으로 급매를 털어내고 단기 바닥을 지나가는 흐름이다. 내년까지 입주가뭄이라 매매.전세 강세흐름이 예상되고, 창원 재건축.울산 재개발.신축 중심으로 매매 강세흐름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 양산.김해 1억이하 구축 갭투자 및 경매투자는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다. 선호 단지들이 어느정도 상승한 흐름에서 구축단지들의 완만한 키맞추기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입주물량 부족으로 전세가 매매를 밀어올리는 흐름 예상되나 투자자가 많이 들어가는 단지의 어설픈 구축 갭투자는 신중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대전.충청권
▶ 대전은 서울처럼 매물가뭄이다. 입주가능한 매매.전세가 귀하여 거래량은 적으나 완만한 강세흐름이 지속되고 있다. 올해 초 조정을 받았던 신축 분양권과 재건축 단지들은 이미 원래 가격을 회복하고 강세흐름을 보이고 있다. 올 하반기에 재건축.신축.선호구축(둔산권 리모델링 이슈) 위주로 상승흐름 예상된다.
▶ 지방 중 꽤 오래 상승하고 있는 천안.아산권은 구축마저 키맞추기 상승흐름에 동참한 분위기이다. 올해까지는 상승흐름 이어갈 것으로 보이나, 아산권 물량이 향 후 2년안에 크게 늘어나므로 매도 타이밍을 고려한 옥석을 가린 투자가 필요해 보인다.
▶ 규제지역 지정으로 눌림을 받았던 청주는 선호단지 위주로 작년말부터 반등을 하였고 올 상반기에 상승흐름으로 전환되었다. 올해는 입주물량도 줄어들고 전국기준 청주의 가격적인 메리트가 반영되어 그동안 덜 오른 신축단지들.선호 구축 위주로 상승흐름 예상된다. 다만 청주 또한 재건축 이슈없는 공시가 1억이하 구축 갭투자 등은 향 후 매도를 생각하고 투자해야 할것으로 보인다.
▶ 충주는 비규제지역에 따른 풍선효과로 그동안 오르지 못한 신축 및 선호단지들이 여전히 강한 상승흐름을 보이고 있다.
'아파트 투자 이야기 > 부동산시장흐름 읽는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욕세권 아파트의 상승 원리 (0) | 2021.08.26 |
---|---|
임대차2법 시행 후 신축 입주단지 전세가 흐름 (0) | 2021.08.26 |
갭투자의 시대 - 사야 할 집 팔아야 할 집 (0) | 2021.08.26 |
임대차 2법 시행 전후 전세수급지수 변화 (0) | 2021.08.25 |
19년 1월말 기준 미분양 주택 현황 분석 (0) | 2019.03.11 |
댓글